나는 누구?(이타적인 보살핌의 대가: 도우미 2번 유형)

2024. 1. 16. 14:21애니어그램이란?/에니어그램 유형 설명

반응형

아래의 내용을 보고 자신의 모습과 비교해보면서 자신의 유형과 맞는지 찾아보면 된다.
다만, 에니어그램이 어려운 이유가 겉으로 보이는 모습은 비슷하거나 실제로는 동일한 경우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다시한번 예를 들면 나는 가슴형 3번이고 나의 장인어른은 장형 1번인데 똑같이 일 중독자이다. 게다가 MBTI도 나는 ESTP 성향으로 같아서 일에 대한 자세나 태도가 같아보인다. 그렇지만 이 둘의 의도가 서로 다른데 나는 성공적인 결과를 얻어내는데 있고 장인어른은 일이 완벽하게 처리되는 것에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스스로 자신을 자세히 살펴봐야 알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천천히 아래의 내용을 직접 생활해 보면서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구체적인 에니어그램 탐색에 들어가기전에 몇가지 팁이나 주의할 점이 있다. 
1. 다른사람의 에니어그램을 판단하지 않는다. 

  - 이것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에니어그램은 자신의 인생여정을 훑어가며 찾아야 한다. 그리고 한번에 찾아지지 않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여러 유형 중 3번 유형들이 자신의 유형 찾기를 가장 헤멘다. 그리고 찾아가는 여정 자체가 당사자에게 큰 도움이 된다. 특히, 자신의 자녀와 부부간에는 더더욱 신중하게 접근하고 각자가 찾아낸 번호를 존중해주고 경험하면서 찾아가는데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2. 각 유형의 우열은 존재하지 않는다. 

 - 모든 사람에게 긍정적, 부정적 성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집착이 있고 연약함들도 있는 것이다. 자신의 존재를 찾아가며 스스로를 이해하고 소중히 여기는 과정으로 이해하면 된다. 

3. 유년기, 소년기 시절의 모습을 떠올려 사용하면 더 쉽게 찾을 수 있다. 

- 어릴수록 본능적으로 행동한다. 순수하게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는 때에 보다 더 자신의 방어기제나 회피, 그리고 집착과 같은 모습들이 더 잘 나타난다. 

4. 긍정적인 모습보다는 부정적인 모습에 더 집중을 하는 것이 좋다. 

 - 에니어그램은 자아를 발견하고 이해하고 더 나아가 여러가지 부정적인 모습들을 어떻게 하면 긍정적인 성향으로 발전을 시켜나갈 것인가에 그 목적이 있다. 

 
 
2번 유형에게 배려란, 타인의 기쁨에 자신의 가치를 찾는 이중주, 때로는 이기적인 기대를 감춘 따스한 감정의 선물이다. 😉🤞🎉🤳




1. 긍정적 성향
    (1) 친절하고 도움을 주는 것을 좋아한다 - 타인을 돕는 데 기쁨을 느낀다.
    (2) 공감 능력이 뛰어나다 - 다른 사람의 감정과 필요를 잘 이해한다.
    (3) 관계를 중시한다 - 따뜻한 인간 관계를 유지하는 데 힘쓴다.
    (4) 사교적이다 -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즐긴다.
    (5) 이타적이다 - 자신보다 타인을 먼저 생각한다.
    (6) 격려와 지지를 잘한다 - 타인을 격려하고 지지하는 데 능숙하다.
    (7) 호의적이고 따뜻하다 -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따뜻한 마음을 보인다.
    (8) 사랑과 친밀감을 중요하게 여긴다 - 가까운 관계에서 큰 만족을 얻는다.
    (9) 간병과 도움을 제공하는 데 기쁨을 느낀다 - 타인의 필요를 채우는 것에 만족한다.
    (10) 인정받고 싶어한다 - 타인으로부터의 인정과 사랑을 중요하게 여긴다.

2. 부정적 성향
    (1) 자신의 필요를 무시한다 - 타인을 돕다가 자신의 필요를 간과한다.
    (2) 과도하게 타인에게 의존한다 - 타인의 인정과 사랑에 지나치게 의존한다.
    (3) 과잉 도움을 줄 수 있다 - 타인의 필요 이상으로 도움을 주려 한다.
    (4) 감정적으로 과민하다 - 타인의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5) 희생적인 태도를 보인다 -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타인을 돕는다.
    (6) 타인의 승인을 갈구한다 - 다른 사람들의 인정과 승인을 강하게 원한다.
    (7) 경계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 타인과의 경계를 명확히 하지 못한다.
    (8) 자기가치에 의문을 갖는다 - 타인의 인정 없이는 자신의 가치를 의심한다.
    (9) 타인을 조종하려는 경향이 있다 - 도움을 준 것에 대한 보상을 기대한다.
    (10) 감정적으로 과도하게 반응할 수 있다 - 타인의 거부나 무관심에 지나치게 반응한다.

3. 집착
    (1) 타인을 도와주는 것에 집착한다 - 끊임없이 타인을 돕고자 한다.
    (2) 인정과 사랑을 받는 데 집착한다 - 타인으로부터의 인정과 사랑을 강렬하게 추구한다.
    (3) 관계에 집착한다 - 인간관계에서 안정감과 만족감을 찾는다.
    (4) 타인의 필요와 감정에 과도하게 반응한다 - 타인의 상태에 지나치게 몰두한다.
    (5) 타인의 승인과 감사를 중요하게 여긴다 - 타인의 긍정적인 평가를 갈구한다.
    (6) 타인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고자 한다 - 자신이 중요하고 필요한 존재임을 느끼고자 한다.
    (7) 감정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둔다 - 타인의 정서적 안정을 돕는 데 집중한다.
    (8) 자기 희생을 강조한다 - 타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을 강조한다.
    (9) 관계에서의 의존성을 느낀다 - 타인과의 관계에서 강한 의존감을 보인다.
    (10) 타인의 감정에 대한 책임감을 느낀다 - 타인의 감정 상태에 대해 자신이 책임져야 한다고 느낀다.

4. 회피
    (1) 자신의 필요와 감정을 회피한다 - 자신의 내면을 무시하고 타인에게 집중한다.
    (2) 거절과 비판을 회피한다 - 타인의 부정적인 반응을 피하려 한다.
    (3) 혼자 있을 때의 불안을 회피한다 - 혼자 있는 것을 피하고 항상 관계 속에 있으려 한다.
    (4) 갈등을 회피한다 - 갈등 상황을 피하고 화합을 추구한다.
    (5)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을 회피한다 -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거나 인정하기 어려워한다.
    (6) 자기 중심적인 모습을 회피한다 - 타인을 위한 행동으로 자신의 이기적인 면을 숨긴다.
    (7) 현실적인 목표를 회피한다 - 현실보다는 관계를 우선시한다.
    (8) 개인적인 책임을 회피한다 - 자신의 문제나 책임을 다른 사람이나 상황의 탓으로 돌린다.
    (9) 자신의 감정을 진지하게 다루는 것을 회피한다 - 자신의 감정보다는 타인의 감정에 집중한다.
    (10)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회피한다 - 자신의 약점이나 취약성을 드러내는 것을 피한다.

5. 방어기제
    (1) 자기 희생을 통한 방어 - 자신을 희생하면서 타인의 사랑과 인정을 얻으려 한다.
    (2) 관계에서의 의존성 강화 - 타인과의 강한 관계를 통해 안정감을 추구한다.
    (3) 타인을 도우며 자신의 문제를 회피 - 타인의 문제에 집중함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회피한다.
    (4) 감정적인 지지를 통한 관계 유지 - 타인의 감정적인 지지를 통해 관계를 강화한다.
    (5) 타인의 승인과 감사에 중점 - 타인의 긍정적인 반응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확인한다.
    (6) 관계에서의 중요성 부각 - 자신이 타인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한다.
    (7) 감정의 과장 - 타인에게 감정을 과장해서 보여줌으로써 더 많은 관심과 도움을 이끌어낸다.
    (8) 타인의 필요를 강조 - 타인의 필요를 부각시킴으로써 자신의 역할과 가치를 강화한다.
    (9) 타인을 통한 자아상의 유지 -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긍정적인 자아상을 유지한다.
    (10) 관계에서의 불평등한 주도성 - 관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자신의 가치를 강조한다.

6. 내적 성장을 위한 방향 제시
    (1) 자기 인식의 향상 - 자신의 필요와 감정에 더 주의를 기울인다.
    (2) 독립성 강화 - 타인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을 줄이고 자립성을 강화한다.
    (3) 감정 조절 능력 개발 - 자신의 감정을 더 잘 조절하고 관리한다.
    (4) 현실적인 목표 설정 - 현실적이고 달성 가능한 개인적 목표를 설정한다.
    (5) 건강한 관계의 유지 - 타인과의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며 경계를 명확히 한다.
    (6) 자기 수용과 긍정 - 자신의 장단점을 인정하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
    (7) 갈등 해결 능력 향상 - 갈등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을 키운다.
    (8) 자기 책임의 인식 - 자신의 행동과 결정에 대한 책임감을 가진다.
    (9) 타인에 대한 과도한 기대 줄이기 - 타인에게 과도한 기대를 하지 않고 현실적인 관계를 추구한다.
    (10) 자기 강점의 인식과 발휘 - 자신의 긍정적인 면을 인정하고 이를 발휘한다.
 
 

(혹시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반응형